어떤 이들은 계절의 순환을 보고 부활을 떠올리고 어떤 이들은 똑같은 자연을 보고 카스트 제도를 떠올린다. 전자의 사람들은 ‘겨울이 지나면 봄이 온다.’ ‘봄이 오면 싹이 튼다.’ 같은 명제를 주목하고, 후자의 사람들은 끝없이 반복되는 삶의 굴레를 주목하다. 둘 중 무엇이 더 훌륭한 시간관이라고는 말할 수 없다. 그럼에도 ‘순환’을 이야기하는 자들의 시간관이 여성적이라고는 말할 수 있다. 단선적인 시간관을 주장한 자들이 오래 전부터 과거를 어떻게 ‘미개하다’고 규정했는지, 어떻게 자연이 여성적이라고 말했는지 주목한다면 말이다. 그러나 토니 모리슨은 『가장 푸른 눈』에서 위의 세 시간관 중 어느 하나를 말하지 않는다. 토니 모리슨은 악순환의 고리가 반복되는 자연관에 한 술 더 떠서 단선적 시간관의 폐해를 말한다. 계절이, 세월이 지날수록 더 잔혹하게 인간을 압박한다고 말한다.
토니 모리슨은 ‘당연히 그래야 할’ 계절의 역할을 뒤집는다. 이 작품은 가을에서 시작해서 여름으로 끝나야 했다. 동시에, 작품은 여름에서 끝나지 않고 다시 가을로 돌아오는 이야기를 기록해야 했다. 즉, 이 작품은 처음과 끝이 맞물려 있다. 일종의 뫼비우스의 띠를 이룩한다.
작품의 시작은 가을이어야 한다. 가을은 추수의 계절이기 때문이다. 금잔화가 꽃을 피우는 계절도 물론 가을이다. 금잔화는 여름에서 가을에 핀다. ‘농부가 뿌린 씨는 가을에 거두어진다.’ 성서를 인용하자면, 1:1도 아니고 30배 60배 100배로 자연은 인간에게 열매를 돌려주어야 한다. 농부는 자연에게 어머니의 마음을 요구하고 더 많은 수확물을 달라고 생떼를 부린다. 어쨌든, 결과적으로 자연은 인간에게 풍요로운 곡식을 주어야 한다. 자연은 곡식뿐 아니라 꽃도 주어야 한다. 이 사실은 부인할 수 없는, 반드시 그렇게 되어야만 하는 사실이다.
나는, 앞에서 토니 모리슨이 계절의 역기능을 말한다고 했다. 가을 챕터에서는 아직 역기능이 드러나지 않는다. ‘가을’에는 단지 꽃이 피지 않았을 뿐이다. 일어나야 했던 일이 일어나지 못했다. 금잔화 씨앗은 싹조차 틔우지 못했고 아기는 태어나지 못했다. 시작 지점에서 결과적인 이야기가 나온다. 이렇게 ‘가을’ 챕터는 뫼비우스의 띠의 시작점이자 마지막 지점이 된다.
가을이 이 이야기의 시작점이 되어야 했던 까닭은 또 있다. 미국의 아이들은 8월 말에서 9월 초에 학교에 간다. 미국에서는 모든 학교가 가을에 1학기를 시작함이다. 그래서 가을은 결실의 계절이고, 등장인물을 소개하기에 좋은 계절이다.
그리고 겨울. 화자인 클라우디아의 이야기는 가을부터 나오지만, 주인공인 피콜라의 이야기는 겨울에 시작된다. 겨울이 피콜라의 이야기의 시작점이어야 할 이유 역시 신화적이다. (신화적, 이라 함은 ‘순환하는 자연’ 자체의 신화성을 의미한다.) 세상이 어느 계절에서 발현되었는지 누구도 알 수 없다. 그러나 (작품 전체를 휘감고 있는) 뒤틀린 기독교적 세계관으로 보면, 시간 이전의 삶속에서 계절은 영원 속의 봄으로 있었고, 진정한 의미에서 인류가 시작된 시점은 겨울이다. 기독교의 신, 모음을 몰라 자음만 본 따서 그의 백성이 야훼라고 부르는 신이, 가죽옷을 지어 입혀서 최초의 인간들을 쫓아낸 사건을 생각한다면, 인류가 시작된 계절은 분명 겨울이다. 실제로 최초의 인간들이 쫓겨났을 때가 물리적으로 겨울이 아닐지라도, ‘봄’만 향유했던 아담과 하와가 타락한 세상으로 떨어진 경험은 겨울의 想과 관련이 있다.
가을에 클라우디아의 이야기를 하고, 겨울 중의 겨울에 작품은 피콜라의 혹한을 드러낸다. 장이 붙어 있으니 클라우디아와 피콜라를 비교하기에도 좋다. 난로도 막을 수 없는 겨울의 추위. 잔혹한 계절이 모든 사랑을 무찌르고 압승을 거둔다.
그다음은 봄이다. 봄의 역기능이 바로 <봄> 챕터의 첫 문단에서 드러난다. 겨울 나뭇가지로 두들겨 맞으면 당장은 아프지만, 나중에는 괜찮다. 그러나 봄의 나뭇가지는 연하고 부드러워서, 그리고 탄력 있어서 더 무섭다. 피콜라가 봄에 강간당하고, 봄에 모든 희망을 잃어버린다는 사실은 다분히 상징적이고 현실적이다. 겨울이 아니라 봄이 사람을 죽인다. 타락한 정치인이나 확고하게 악한 악인은 무섭지 않다. 『가장 푸른 눈』에서는 가장 의지할 수 있어야 했던 (뒤틀린) 종교가, 가장 가까운 가족이, 봄에, 한 소녀를 짓밟았다. 가장 보호받아야만 하는 소녀를. 겨울에는 다 같이 가난하다. 그러나 봄에는 최소한의 양분이 있기에, 양분을 먹고 살찐 자들과 아무것도 가지지 못한 자들의 차이(Grade)가 더 확연히 드러난다. 봄의 양분은 더 풍성해지고, 양분이 풍성해질수록 착취는 더 심해진다. 이제 서사는 스스로 여름으로 이어진다.
가장 찬란한 계절, 가장 아름다운 계절에 가장 심한 악취가 난다. 여름의 꽃은 고개를 들지 못했다. 그게 전부다. 그게, 전부다.
-
학업 때문에 영화를 보지 못한 관계로, 부득이하게 책 이야기를 꺼냅니다. 조별과제 사라져라!! >.<
'[영화]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화] 1. 인터스텔라 : 세상의 중심은 어쩔 수 없이 我 (0) | 2015.02.12 |
---|
WRITTEN BY